내년 2021년 공시지가가 크게 상승하게 됩니다.
공시지가
공시지가는 부동산 보유세 등 과세의 근간이 되는 기준입니다.
표준지 공시지가 내년에 크게 오를 예정입니다.
표준지
표준지는 공시지가를 판별하는 기준이 되는 토지입니다.
전체 토지의 공시지가를 파악할 수 없으니 대표성을 띄는 토지들을 선정해서 공시지가의 기준을 만드는 것입니다.
전국 개별 토지 3398만 필지의 공시지가를 산정하는 기준이 되는 대표 토지입니다.
10.37%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1년 1월 1일 기준 전국의 표준지 52만 필지의 상승률은 10.37% 가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정도 상승폭이면 지난해 9.42% 보다도 더 큰 숫자입니다.
(2021년 공시지가 인상)
2007년 (12.40%) 이후 최고의 상승률입니다.
상승률을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지역별
세종 12.38%
서울 11.41%
광주 11.39%
부산 11.08%
대구 10.92%
서울 주요 구
강남구 13.83%
서초구 12.64%
영등포구 12.49%
용도별
주거용 11.08%
상업용 10.14%
농경지 9.24%
임야 8.46%
(2021년 공시지가 인상)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
지난달 11월 정부는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향후 15년에 걸쳐 부동산 공시가격을 시세의 90% 수준으로 올릴 것이라는 겁니다.
여기에는 공동주택, 단독주책, 토지 전부 다 포함되어 있습니다.
(2021년 공시지가 인상)
공시지가 인상 왜 중요한가
공시가격의 시세반영률이 높아지면 쉽게 말해서 세금, 보험료 등의 부담이 덩달아서 커지게 됩니다.
공시가격은 국가에 내는 돈 (세금, 보험료 등) 60개 분야의 기준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이 있습니다.
부동산 보유세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증여세
건강보험료
개발부담금
현재 공시가격의 현실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토지 65.5%
단독투택 53.6%
공동주택 69%
이 숫자들을 앞으로 시세의 90% 수준까지 올린다면 분명 충격이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정부는 나름의 완충 방안도 내놓았습니다.
토지 8년
단독주택 7~15년
공동주택 5~10년
이러한 기간에 걸쳐서 현실화율 90%를 달성한다는 것입니다.
공시가격 현실화 정책으로 가장 피해를 보는 것은 고가주택, 다주택 보유자들입니다.
이들의 세금 폭은 아주 크게 오를 수 밖에 없습니다.
9억미만 중저가 아파트의 경우도 5년후 세금 부담 1.6배 늘어날 예정입니다.
얼마전 종부세 이슈로 부동산 업계가 크게 들썩였었죠.
종부세 관련해서는 다음 글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종부세란?
종부세 고지서가 나온 이후로 논란이 많습니다. 작년에 비해 종부세 대상자와 세액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원래 종부세를 내던 기존의 납부자들은 이번에 대폭 올랐다는 말을 하고, 작년
artemis-eos.tistory.com
종부세 기준
부동산 안정화를 위한 대표적인 대책으로 세금 정책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종합부동산세와 관련해서 이번에 논란이 많습니다. 작년에 비해 올해 큰 폭으로 올랐고, 내년에는 더 많이 오를 것
artemis-eos.tistory.com
종부세 세율
종부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국내에 소재한 부동산(주택 및 토지)의 공시가격을 더하여, 그 합계가 일정 금액을 넘을 경우 세금을 부과하는 보유세의 일종입니다. artemis-eos.tistory.com/26 종부
artemis-eos.tistory.com
종부세 납부기한
(종부세 납부기한) 2020년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고지서가 발행된 이후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종부세가 지난해보다 2배 이상 높게 고지된 사람도 많다고 합니다. 종합부동산세에 대해 생소
artemis-eos.tistory.com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애최초 특별공급 조건 7가지 (필수) (0) | 2020.12.19 |
---|
댓글